11. 바둑 두는 소리를 들은 왕적신 [당] 이조 지음 / 이상천 옮김 《당국사보(唐國史補)》, 학고방출판사, 2006. 11. 바둑 두는 소리를 들은 왕적신(王積薪聞棋) 왕적신은 바둑의 변화를 터득하고서 스스로 천하에 적수가 없다고 말하였다. 한 번은 서울로 나들이를 가다가 어느 객사에서 묵게 되었다. 등잔을 끄고 자려다가 주인 할머니가 .. 中文史哲/唐國史補 2009.12.01
곡괭이로 찾아 낸 세계 8대 기적 곡괭이로 찾아 낸 세계 8대 기적 ▲ 병마용 1호갱의 전경. 전체 면적 1만4260㎡ 중 1만㎡은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 1호갱 뒤에는 발굴되어 갓 복원작업을 끝낸 병마용이 늘어 서 있다. 병사들 자세가 단 한 개도 같지 않고 얼굴 표정도 다양하다. 일곱 명 농민들, 관개용 우물을 파다 진시황 병마용을 발.. 中文史哲/中國文物 2009.11.11
10. 최령의 노여움을 샀던 호추 [당] 이조 지음 / 이상천 옮김 《당국사보(唐國史補)》, 학고방출판사, 2006. 10. 최령의 노여움을 샀던 호추(胡雛犯崔令)1) 이원제자(梨園弟子)인 호추(胡雛)라는 예인은 피리를 잘 불어 황제의 특별한 은총을 받았다. 일찍이 그는 낙양령(洛陽令) 최은보(崔隱甫)의 노여움을 산 적이 있는데 바로 궁중으로.. 中文史哲/唐國史補 2009.11.10
9. 이양빙의 소전체 [당] 이조 지음 / 이상천 옮김 《당국사보(唐國史補)》, 학고방출판사, 2006. 9. 이양빙의 소전체(李陽冰小篆) 이양빙(李陽冰)은 소전(小篆)에 뛰어났다. 자칭 “소전은 이사(李斯) 영감 이후로 바로 이 몸을 으뜸으로 친다. 조가(曹嘉)와 채옹(蔡邕)은 언급할 만 한 가치가 없는 사람들”이라고 하였다. 개.. 中文史哲/唐國史補 2009.11.10
8. 서법을 터득한 장욱 [당] 이조 지음 / 이상천 옮김 《당국사보(唐國史補)》, 학고방출판사, 2006. 8. 서법을 터득한 장욱(張旭得筆法) 장욱(張旭)은 초서를 통해 서예의 필법을 터득하고 후에 최막(崔邈)과 안진경(顔眞卿)에게 전수하였다. 장욱은 “처음에 나는 주인과 짐꾼이 길을 다투는 것을 보고서 서예의 오묘한 경지를 .. 中文史哲/唐國史補 2009.11.10
7. 왕유의 표절시비 [당] 이조 지음 / 이상천 옮김 《당국사보(唐國史補)》, 학고방출판사, 2006. 7. 왕유의 표절시비(王維取嘉句) 왕유는 불교를 좋아해서 자를 마힐(摩詰)이라고 하였다. 심오한 ○당연히 현(玄)자로 생각됨 성품에 고상한 취미를 가졌다. 송지문(宋之問)의 산수가 빼어난 망천 별장을 얻었다고 하는데, 지금.. 中文史哲/唐國史補 2009.11.10
6. 이백이 신발을 벗었던 사건 [당] 이조 지음 / 이상천 옮김 《당국사보(唐國史補)》, 학고방출판사, 2006. 6. 이백이 신발을 벗었던 사건(李白脫鞾事) 이백(李白)이 한림공봉(翰林供奉)이라는 벼슬을 할 때 늘 술독에 빠져 있었다. 현종(玄宗)이 이백에게 노래 가사를 지어 오도록 했는데 이백은 술에 취해있는 상태라 시종들은 술이 깨.. 中文史哲/唐國史補 2009.11.10
5. 진짜 호랑이를 만난 배민 [당] 이조 지음 / 이상천 옮김 《당국사보(唐國史補)》, 학고방출판사, 2006. 5. 진짜 호랑이를 만난 배민(裴旻遇眞虎)1) 배민(裵旻)은 용화군사(龍華軍使)가 되어 북평(北平)을 지키고 있었다. 북평에는 호랑이가 많이 출몰했는데 배민은 활을 잘 쏘았다고 한다. 하루는 호랑이를 서른 한 마리나 쏘아 죽이.. 中文史哲/唐國史補 2009.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