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비단신 만져보는데 일백 전 [당] 이조 지음 / 이상천 옮김 《당국사보(唐國史補)》, 학고방출판사, 2006. 16. 비단신 만져보는데 일백 전(百錢玩錦靿) 현종이 촉 지방으로 도망하다 마외 역참에 이르러 고력사(高力士)에게 명하여 양귀비더러 불당 앞의 배나무 아래에 목을 매어 자결하라고 하였다. 마외 객사를 운영하던 한 할머니.. 中文史哲/唐國史補 2010.08.03
4. 북조(北朝)의 관제 王天有 著 / 李商千 譯, <중국고대관제>, 학고방, 2006. 4. 북조(北朝)의 관제 서진(西晉) 팔왕(八王)의 난[291-306년] 후부터 중국 북방에 크고 작은 20여 개 지역적인 정권이 연이어 출현하였는데, 역사에서는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이라고 한다. 십육국(十六國) 시기의 관제는 기본적으로 두 가지 .. 中文史哲/古代官制 2010.08.03
3. 남조(南朝)의 관제 王天有 著 / 李商千 譯, <중국고대관제>, 학고방, 2006. 3. 남조(南朝)의 관제 남조는 동진 이후로 양자강 하류의 동남 지역으로 지금의 江蘇省 지역인 강좌(江左)에 안주한 네 개의 왕조, 즉 송(宋)[420-479년]、제(齊)[479-502년]、양(梁)[502-557년]、진(陳)[557-589년]을 가리킨다. 형식상으로 보면 남조의 관.. 中文史哲/古代官制 2010.06.30
b. 세무와 소금이윤의 통제 르언홍 지음 / 이상천 옮김 ≪중국고대의 환관≫, 울산대학교출판사, 2009. b. 세무와 소금이윤의 통제 각종의 부세를 징수하는 것은 역대 왕조에 다 있어왔던 일로 국가 경제 및 국민 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명대는 수공업과 상업이 발전하면서 가지가지의 가혹한 잡세도 많아지기 시작하였다. .. 中文史哲/中國宦官 2010.06.29
많고도 많은 중국에 관한 오해 많고도 많은 중국에 관한 오해 ◆ 한국인이 모르는 중국경제 ◆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우리에게 충격이었다. 천안함 사태가 풀리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 정부의 지원을 기대했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는 신임 주한 중국대사를 불러다놓고 "왜 미리 알리지 않았느냐"며 항의했다. 결과는 .. 中文史哲/中國時事 2010.05.26
六. 진릉(秦陵)의 기타 건축 1. 오령(五嶺)과 어지(魚池) 張敏 張文立 共著 / 이상천 역, <진시황제릉>, 학고방출판사, 2007. 六. 진릉(秦陵)의 기타 건축 1. 오령(五嶺)과 어지(魚池) 진릉의 남면과 북면에 각자 유적지가 하나씩 있는데 바로 오령과 어지이다. 그것들을 하나로 연결시킨 것은 우연한 요인이었다. 오령은 실제로 진릉 남면의 물막이 둑인 방수.. 中文史哲/秦始皇陵 2010.05.02
(2) 명대의 환관과 경제 a. 논밭의 강제 점령과 수탈 르언홍 지음 / 이상천 옮김 ≪중국고대의 환관≫, 울산대학교출판사, 2009. (2) 명대의 환관과 경제 명대의 환관은 내각을 유명무실하게 만들었고 창과 위를 조종하여 조정을 좌지우지하는 “실질적 재상(眞宰相)” 역할을 자처한 후 촉각을 경제영역으로 확장하여 점차 경제 분야의 중요한 부분을 장악.. 中文史哲/中國宦官 2010.05.02
중국의 환경재앙--황사 무시무시한 모래바람은 만리장성도 무너뜨린다 중국은 넓은 국토와 많은 인구를 가진 만큼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고 있다. 특히 무분별한 산업화와 도시화는 생태환경을 급속히 파괴하여 대륙 전체를 몸살 나게 하고 있다. ▲ 황무지로 변한 신거우4촌의 북부 지역. 30년 전만 해.. 中文史哲/中國時事 2010.04.12
5.公冶長(凡二十八章) 公冶长第五 (凡二十八章) 5․1 子谓公冶长1, “可妻也2. 虽在缧绁之中3, 非其罪也4.” 以其子妻之5. 공자께서 공야장에 대해 “사위로 삼을 만하다. 비록 감옥살이를 했다고는 하나 그의 죄가 아니었다.”라고 평하시고는 따님을 그에게 시집보내셨다. [주석] 1) 子謂公冶长(자위공야장) -- 공자가 공야장.. 中文史哲/經典論語 2010.03.29
중국을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모택동 중국을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모택동 대약진운동, 문화혁명의 광란 거치면서 6천5백만명 죽여 20 세기 최악의 학살자가 누구냐고 묻는다면 히틀러와 스탈린이라고 대답할 사람이 대분일 것이다. 그러나 이는 정답이 아니다. 마오쩌뚱(毛澤東)이다. 최근 출간된 “공산주의의 검은 책”(Black Book of Communis.. 中文史哲/中國歷史 2010.03.28